안녕하세요 영어공방장입니다😀
2025년 3월 모의고사 21번 함축적 의미 유형은 과학과 철학의 고전적 통합에서 현대의 응용과학 중심으로의 전환에 대한 글입니다.
데카르트의 나무를 이용하여 뿌리, 몸통, 열매를 형이상학적 원리, 물리적 현상, 그리고 응용과학에 빗대어 글을 풀어나가는 21번 지문은 내용 이해가 필수입니다. 내용, 주제뿐만 아니라 고전적 관점 - 문제점 - 새로운 관점으로 연결되는 구간들이나 문장들의 위치를 확인하여 순서나 삽입 변형을 대비해 주세요!😉
21번 문제풀이, 시작합니다!
cf. 정답에 대한 근거 위주의 문제풀이 포스팅입니다. 자세한 해석이나 분석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포스팅 하단을 확인해 주세요.
The unity of science and philosophy in the old classical sense was perhaps best described by the famous tree of Descartes: The roots of this tree corresponded to metaphysics (the intelligible principles), the trunk to physics (statements of intermediate generality), and the branches and fruit to what we would call applied science.
☞ 데카르트의 나무를 통해 나무의 뿌리 = 형이상학(원리), 몸통 = 물리적 현상, 가지+열매 = 응용과학의 구조를 이용하여 과학과 철학의 고전적 통합을 이야기합니다.
He regarded the whole system of science and philosophy as we today regard science alone; he felt that the metaphysical principles were ultimately justified by their “fruits,” not merely by their selfevidence. What we today call applied science consisted for him not only in mechanics but also in medicine and ethics.
☞ 과학과 철학에 대해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있던 데카르트는 형이상학적 원리(뿌리)와 응용과학(열매)이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고, 오늘날 우리는 과학 자체(열매)만을 생각합니다.
The difficulty was that from the general principles of Cartesian or Aristotelian science-philosophy no results could be derived which were precisely in agreement with observation, but these principles seemed to be intelligible and plausible.
☞ 하지만, 형이상학적 원리들은 그럴듯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관찰과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죠. 즉, 실용적이지 않았어요.
So the tree was cut in the middle. For the derivation of technical results, it was necessary to start from the physical principles in the trunk.
☞ 그래서 원리(뿌리)와 과학(열매)를 분리해서 생각하게 되었고 나무는 중간에서 잘려 몸통 부분의 물리학적 원리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Science in the new sense was to think only of how the fruits would develop from the trunk without regard to the roots.
☞ 새로운 의미에서의 과학(오늘날 우리의 관점)은 뿌리(형이상학적 원리)를 고려하지 않고 몸통(물리학적 원리)에서 어떻게 열매(과학)이 발달했는지를 중점으로 합니다.
👩🏫 예전에는 과학과 철학을 통합적 관점으로 바라보았지만, 관찰과 일치하는 결과 도출이 안된다는 실용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철학을 분리, 과학만 바라보는 실용적인 관점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보통 밑줄 친 문장은 주제와 관련된 경우가 많고, 여기서도 ① Science(열매) detached itself from philosophical foundations(뿌리) and shifted to deriving outcomes based on physical principles(몸통)이 주제와 일치하는 선지입니다.
어휘 정리와 어휘 테스트, 해석연습, 분석, 그리고 빈칸 순으로 이어집니다.
저만의 수업 스타일대로 분석했어요. 이해가 되지 않는 표기법이나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도, 응원합니다!
2025년 3월 고3 모의고사 23번 문제풀이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1) | 2025.05.06 |
---|---|
2025년 3월 고3 모의고사 22번 문제풀이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3) | 2025.05.05 |
2025년 3월 고3 모의고사 20번 문제풀이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어법선택 (2) | 2025.05.02 |
2025년 3월 고3 모의고사 19번 문제풀이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0) | 2025.05.01 |
2025년 3월 고3 모의고사 18번 문제풀이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