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어 공 방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영어공방장입니다😀

2026학년도 6월 고3 모평 31번 빈칸 유형은 동물의 의도적 가르침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글입니다.

빈칸이 (아주 긴) 첫 번째 문장에 위치했어요. 이후로 오는 내용으로부터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추론해 내야 하는 유형이었습니다.

31번 해설, 시작하겠습니다!

cf. 정답에 대한 근거 위주의 문제풀이 포스팅입니다. 자세한 해석이나 분석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포스팅 하단을 확인해 주세요.


 

The human psychology and education communities (as well as some animal researchers!) have been against referring to “teaching” when describing social learning in animals, mainly because teaching implies a level of on the part of the model that is difficult to measure in animals.

☞ 동물의 사회적 학습에 대해서 '가르치기'라고 언급하는 것을 반대해왔는데, 이는 동물의 수준을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 지문상으로는 5줄이나 되는 굉장히 긴 문장이었어요. 첫 문장이 매우 길면서 빈칸까지 위치하여 당황했을 수 있지만, 문제를 푸는 전략은 동일합니다. 이후 문장의 내용으로 빈칸을 유추해야 합니다.

Nonetheless, there has been a movement within the animal cognition community to say that animals can, in fact, teach one another.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들은 서로를 가르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어왔네요. 앞 문장과 반대되는 내용이죠. 계속 이 기조를 이어나가나 확인해 봅시다.

For example, skilled ants engage in a behavior called tandem running, in which they touch their bodies to the body of a novice ant as they lay down chemical trails, presumably to assist the newcomer with route learning.

☞ 첫 번째 예로 개미가 등장합니다. 숙련 개미가 초보 개미에게 화학적 흔적을 남기는데 이는 경로 학습을 돕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르침을 위해서 일부러 하는 행동이라고 추측할 수 있어요.

Killer whales also repeat the same seal hunting technique in front of their offspring, sometimes without even killing the seal, leading researchers to ask why they would repeatedly catch and release a seal if they were not planning to eat it.

☞ 두 번째 예로 범고래가 등장합니다. 이들은 새끼 앞에서 물개 사냥 기술을 반복합니다. 먹을 생각이 없는데도 새끼들에게 잡고 놓아주기를 계속하는 것이죠. 아마 새끼에게 사냥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요?

Considering the amount of energy they’d have to expend, there would need to be a good reason, and that reason might be teaching.

☞ 소모하는 에너지의 양을 봤을 때, 이들이 이러한 행동을 하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고, 이는 가르치기일 수 있습니다.

👩‍🏫 숙련 개미와 범고래의 예를 통해서 이들은 학습시키려는 목적, 의도를 가지고 이러한 행동들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목적·의도와 방향이 같은 ⑤ intentionality가 빈칸에 들어가야 합니다.

 


글의 흐름은 존재하지만 문장이 긴 대신 문장의 수가 적어서 원문만 가지고는 변형의 한계가 있어서 어법만 준비했어요. 하지만 학교 선생님이 문장을 추가하여 흐름을 이용한 다른 유형의 변형이 나올 수 있으니 흐름 파악은 꼭 하고 넘어가도록 하셔요😊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변형문제 순으로 이어집니다. (+정답 반영)

2506고3_31_T.pdf
0.16MB

 

이해가 되지 않는 표기법이나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도,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