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어 공 방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영어공방장입니다😀

2026학년도 6월 고3 모평 32번 빈칸 유형은 외모가 아닌 인상을 통해 등장인물을 묘사하기에 대한 글입니다.

주제를 계속 언급해 주기 때문에 반복되는 포인트만 캐치하면 어렵지 않았을 거예요.

32번 해설, 시작하겠습니다!

cf. 정답에 대한 근거 위주의 문제풀이 포스팅입니다. 자세한 해석이나 분석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포스팅 하단을 확인해 주세요.


 

Writers often give us the impression that they have described the faces of their characters, when in fact they have simply given you an outline to fill in.

☞ 작가는 등장인물의 얼굴들을 묘사했다는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 그들은 독자들이 채울 윤곽만 제시합니다. '작가는 외모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진 않는다'라고 정리하고 다음 문장으로 가볼게요.

Of Esch,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Hermann Broch’s masterpiece The Sleepwalkers, we learn only that he has big teeth.

☞ 유명 작품 속 등장인물 역시, 우리(독자)는 그가 큰 이빨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 알게 됩니다. 작가는 얼굴을 자세하게 묘사해 주는 것이 아니라 특징이 되는 포인트만 던져주는 것이죠.

Even so, we don’t feel as if his face is a dentate blankness.

☞ 그렇다고 우리가 그의 얼굴을 이빨만 있는 채로 뻥 뚫려있다고 상상하지는 않습니다. 독자 나름대로 제공된 인상을 바탕으로 한 얼굴을 상상하죠.

Most often, we mistake being told what effect someone’s appearance has for an account of that appearance.

☞ 우리는 어떤 사람의 인상에 대해 들은 것을 그 외모에 대한 설명으로 착각합니다. 작가는 외모를 설명하지 않는데도 독자는 마치 설명을 들은 것처럼 인상을 토대로 외모를 상상하죠.

The poet Mallarmé’s advice ― Peindre non la chose, mais l’effet qu’elle produit (‘Paint not the thing itself but the effect it produces’) sounds like a self-denying ordinance.

☞ 어떤 시인도 대상 자체를 그리지 말고 대상이 주는 인상을 그리라고 조언합니다. 작가는 인상만 제공한다는 내용이 반복되죠? 🙂

Actually it is a rather clever way out of an intractable problem.

☞ 사실 인상을 제공하는 것은 작가에게 있어서도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편한 방법입니다.

When, in one of his novels, Evelyn Waugh says of a new character, that ‘he had just the kind of appearance one would expect a young man of his type to have’ and nothing else, you still feel as if you .

☞ 작가 Evelyn Waugh가 자신의 소설 속 등장인물에 대해서 그 타입의 젊은이가 가질만한 딱 그런 외모라고만 하고 다른 설명을 하지 않아도, 우리는 마치 처럼 느껴집니다.

반복되는 포인트로 유추하자면, '독자들은 마치 외모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것처럼 외모를 상상할 수 있다'라는 방향으로 가야겠죠? 따라서, ① have been told exactly what he looks like가 빈칸에 들어와야 합니다.

 


어휘, 해석연습, 분석, 빈칸, 변형문제 순으로 이어집니다. (+정답 반영)

2506고3_32_T.pdf
0.15MB

 

이해가 되지 않는 표기법이나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도,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