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나뉜다.
현재분사: ~ing / 능동, 진행 / falling leaves 떨어지는 잎들
과거분사: p.p / 수동, 완료 / fallen leaves (땅에) 떨어진 잎들
분사의 역할으로 두가지가 있다.
① 명사 수식 *수식하는 명사와 능동·수동 관계를 따져서 현재분사가 필요한지 과거분사가 필요한지 파악!
② 보어 역할
cf. 분사구문 = 접속사 + 주어 + 동사 ~ 를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분사로 만들어 간단히 만든다.
이 때,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를 비교해서 주어가 같을 경우에만 생락하고, 아니면 주어를 분사 앞에 그대로 둔다.
Because it is sunny today, we are going to go on a picnic as we planned.
→ Because it (뒤에 주어가 we, 앞뒤 주어가 달라서 생략 X) is (원형+ing로 바꿈) sunny today, we are going to ~
→ It being sunny today, we are going to go on a picnic as we planned.
cf. ~한 채로
with + 명사 + ~ing 명사와 분사가 능동 관계일때
with + 명사 + p.p 명사와 분사가 수동 관계일때
보통 능동·수동 관계를 따져서 현재분사인지 과거분사인지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수식하는 명사나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를 잘 파악하여 능동·수동 관계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동사와 분사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 bore, excite, shock, embarrass, confuse 등은 감정동사라고 불린다.
이때 감정동사는 분사로 형태를 바꾸어 사용할 때가 많다.
감정동사 - 현재분사 (~ing) : ~ 하게 만드는 (감정의 원인)
- 과거분사 (p.p) : ~함을 느끼는 (감정을 느끼는 주체)
이 때, 감정을 느낀다는 것이 주로 사물보다는 사람의 능력이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사람이 나오면 p.p / 사물이 나오면 ~ing 라고 외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조건 그렇게 쓰이는 것은 아니라는 점!
v. shock (충격을 주다) - shocking: 충격을 주는, 충격받게 만드는
- shocked: 충격받는, 충격을 느끼는
I was ① shocking / shocked when I heard the ② shocking / shocked news.
① 내가 충격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shocked가 정답
② 뉴스는 감정을 느끼는 대상이 아니라 충격을 주는 감정의 원인이므로 shocking이 정답
하지만 이런 경우는 잘 따져봐야 한다.
He is boring / bored me.
여기서는 사람 관련된 단어가 두개나 있어서 bored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가 나를 지루하게 하는 감정의 원인이므로 bored가 아니라 boring이 들어가야 맞다.
동명사
준동사 중 하나인 동명사는 명사역할을 하지만 동사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명사와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① 목적어를 취할 수 있다.
for creation / creating a new method ~
전치사 for 뒤에는 명사 자리라서 둘 다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뒤에 a new method 라는 목적어가 자리하기 때문에 목적어를 취할 수 있는 동명사 creating만 가능하다.
②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③ 의미상 주어가 있다.
toRV: toRV 앞에 for+목적격 / of+목적격 (사람의 성질을 나타낼 때)
동명사: 동명사 앞에 소유격 or 목적격
④ 시제와 태를 가진다.
|
toRV |
동명사 |
시제 |
기본) toRV 과거) to have p.p (본동사보다 이전시제) 본동사보다 이전 시제임을 의미 |
기본) ~ing 과거) having p.p (본동사보다 이전시제) |
He seems to tell a lie. 그가 거짓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to tell은 seems와 같은 시제) He seems to have told a lie. 그가 거짓말했던 것 처럼 보인다. (to have told a lie는 seems보다 이전 시제) | ||
태 |
기본) to be p.p 과거) to have been p.p (본동사보다 이전시제) |
기본) being p.p 과거) having been p.p (본동사보다 이전시제) |
She enjoyed being loved. 그녀는 사랑받는 것을 즐겼다. (being loved는 enjoyed와 같은 시제) She enjoyed having been loved. 그녀는 사랑받았던 것을 즐겼다. (having been loved는 enjoyed보다 이전 시제) |
형용사 vs 부사 (0) | 2018.02.18 |
---|---|
toRV vs ~ing (0) | 2018.02.14 |
전치사 vs 접속사 (0) | 2018.02.10 |
관계사 vs 접속사 (0) | 2018.01.28 |
복합관계사 (0) | 2018.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