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어공방장입니다😀
오늘 공부할 지문은 2025학년도 수능 23번 주제 유형으로 산업화로 인한 일과 시간의 패러다임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자료 속 ★ 포인트 3가지 함께 확인해 볼게요.
As such는 '따라서'라고 해석되는 연결사입니다.
이제까지 수능 지문에서는 therefore, as a result가 많이 사용되었는데요.
근래 as such가 지문 속에서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아직 낯선 학생들도 있을 텐데요. 이제 '따라서' 카테고리에 as such도 포함하여 공부할 필요가 있어요.
둘 다 같은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오른쪽은 so that 앞에 ,(comma)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보통 so that은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뒤에 목적에 해당하는 절이 온다고 알려져 있죠.
사실 so that 뒤에는 목적과 결과 모두 올 수 있답니다. 문맥상으로 자연스러운 해석 방법을 택해야 해요.
하지만 처음 그 내용을 접하는 독자들은 목적/결과 중 어떤 해석법이 필요한지 모를 수 있거나 혹은 목적/결과 모두 해석이 어색하지 않은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저자는 독자들의 편리를 위해 결과가 오는 경우에는 so that 앞에 ,를 추가해 주고는 합니다. (선택이므로, 모든 결과 앞에 ,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We hurried so that we wouldn't miss the train.
우리는 서둘렀다 / 기차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목적)
Suddenly it rained heavily, so that I got all wet.
갑자기 비가 엄청 내렸다 / 그래서 나는 쫄딱 젖었다. (결과)
keep 뒤에 목적어가 오는 몇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keep O ~ing : 목적어가 계속 ~하게 하다.
(목적어 - 보어가 능동 관계)
keep O p.p : 목적어가 계속 ~되게 하다.
(목적어 - 보어가 수동 관계)
keep O from ~ing : 목적어가 ~하지 못하게 막다.
어휘 정리와 어휘 테스트, 한줄해석, 분석, 그리고 빈칸 순으로 이어집니다.
어휘 정리나 해석도 한번 안 해보고 바로 분석부터 공부하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수업을 들을 때는 마치 이해가 되는 듯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다시 해당 지문을 볼 때 모르는 단어나 내용으로 인해 다시 새롭게 느껴질 수 있고, 내신대비를 위해 암기를 할 때 힘들어요.
반드시, 모르는 어휘 정리와 꼼꼼하게 스스로 해석해 보는 시간을 가진 후에 분석+정리(자기 공부 및 암기)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저만의 수업 스타일대로 분석한 것이라 설명하는 표시들이 이해되지 않을 수 있어요. 이해가 되지 않는 표기법이나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도, 응원합니다!
2025학년도 수능 29번 어휘 한줄해석 분석 빈칸+어법 / 분사구문 (0) | 2025.03.25 |
---|---|
2025학년도 수능 24번 어휘 한줄해석 분석 빈칸+어법 / 오답 논란 ⑤이 정답인 이유 (0) | 2025.03.24 |
2025학년도 수능 22번 어휘 한줄해석 분석 빈칸 / 병렬 / 다의어 (0) | 2025.03.13 |
2025학년도 수능 21번 어휘 한줄해석 분석 빈칸/어법 (0) | 2025.03.06 |
2025학년도 수능 분석 34번 빈칸 유형 (0) | 2024.11.27 |